ChatGPT 고수들이 사용하는 프롬프트 공식 7가지
ChatGPT에 무언가를 입력하고 결과를 받았을 때, “이게 뭐야?”라는 말이 저절로 나왔던 적 있지 않으신가요?그 반응은 전혀 이상한 게 아닙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단순히 질문을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며 결과가 나쁘면 “역시 AI는 부족해”라고 생각하죠.
하지만 문제는 “무엇을 묻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묻느냐”입니다.
ChatGPT는 매우 똑똑하지만, 그 똑똑함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정해진 방식대로 대화해야 합니다. 그 방식을 알면 누구나 전문가처럼 정확하고 강력한 답변을 받을 수 있어요.
바로 그것이 프롬프트 프레임워크(Prompt Framework)입니다.
오늘 이 글에서는 ChatGPT를 똑똑하게 사용하는 고수들이 즐겨 쓰는 7가지 프롬프트 공식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이 공식들을 활용하면 원하는 결과를 빠르게, 그리고 훨씬 더 유용하게 받아볼 수 있습니다.이제부터 하나씩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업무에 바로 써먹는 ChatGPT 엑셀 프롬프트 템플릿 40가지
- ChatGPT 프롬프트 기술 | 예제로 배우는 11가지 방법
- 챗GPT 활용 꿀팁 26가지|초보도 쉽게 배우는 실전 활용법 대공개
- 개인 성장을 위한 ChatGPT 프롬프트 5가지
- 다시 써줘 대신 ChatGPT로 글쓰기 잘하는 실전 프롬프트 12가지

목차
1. 역할, 작업, 형식을 활용하는 R-T-F 프레임워크
ROLE → TASK → FORMAT
이 프레임워크는 사용자가 원하는 역할을 명확히 하고, 수행할 작업을 지정하며, 결과를 어떤 형식으로 받을지 설정하는 방식입니다. 가장 단순하면서도 강력한 구조입니다.
활용 예시
- 역할: Facebook 광고 마케터
- 작업: 스포츠 브랜드의 피트니스 의류 라인을 홍보할 광고 캠페인 기획
- 형식: 스토리보드 형식으로 결과 제시
프롬프트 예시
“Facebook 광고 마케터 역할을 해주세요. 스포츠 브랜드의 새로운 피트니스 의류 라인을 홍보할 광고 캠페인을 기획해주세요. 광고 문구, 비주얼 요소, 타겟팅 전략을 포함한 스토리보드 형식으로 보여주세요.”
활용 팁
- ROLE은 최대한 구체적으로 설정하세요. ‘마케터’보다는 ‘Z세대를 위한 인스타그램 마케터’ 식으로.
- FORMAT을 명확히 지정하면 기대하는 출력값을 정확히 받을 수 있습니다.
2. 작업, 행동, 목표를 명확히 하는 T-A-G 프레임워크
TASK → ACTION → GOAL
이 방식은 비즈니스와 전략 기획에 특히 유용합니다. 무엇을 해야 하는지, 어떻게 해야 하는지, 왜 해야 하는지를 정확히 전달할 수 있습니다.
활용 예시
- 작업: 팀원 성과 평가
- 행동: 매니저로서 각 팀원의 강점과 약점 분석
- 목표: 사용자 만족도 점수를 6에서 7.5로 향상
프롬프트 예시
“팀원의 성과를 평가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직접 매니저의 입장에서 각 팀원의 강점과 약점을 분석해주세요. 목표는 다음 분기까지 사용자 만족도 점수를 평균 6에서 7.5로 올리는 것입니다.”
활용 팁
- 명확한 숫자 목표를 설정하면 더욱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한 답변을 받을 수 있습니다.
- ACTION은 ‘조사해줘’보다 ‘평가해줘’처럼 구체적 행동을 써주세요.
3. 문제, 결과, 해결책을 연결하는 B-A-B 프레임워크
BEFORE → AFTER → BRIDGE
‘이전에는 이런 문제가 있었고’, ‘이제는 이런 결과를 바란다’, ‘그럼 무엇을 해야 할까?’를 구조화한 방식입니다. 마케팅이나 전략, 문제 해결형 질문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활용 예시
- BEFORE: SEO 순위가 전혀 없음
- AFTER: 90일 안에 업계 상위 10위 진입
- BRIDGE: 이를 위한 상세 계획 요청
프롬프트 예시
“현재 우리 웹사이트는 SEO 순위에서 전혀 보이지 않습니다. 우리는 90일 이내에 업계 상위 10위 안에 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세워주세요.”
활용 팁
- BEFORE와 AFTER는 간결하고 강력하게 써주세요.
- BRIDGE에는 “무엇을 원하는가”가 드러나야 합니다. 전략인지, 실행계획인지 명확히 하세요.
4. 상황, 행동, 결과, 사례를 포함하는 C-A-R-E 프레임워크
CONTEXT → ACTION → RESULT → EXAMPLE
이 구조는 설득력 있는 결과를 도출하고 싶을 때 좋습니다. 특히 캠페인 기획이나 브랜딩 전략에 자주 활용됩니다.
활용 예시
- 상황: 지속 가능한 패션 브랜드 신제품 론칭
- 행동: 환경 중심 캠페인 기획
- 결과: 인지도 상승 및 매출 향상
- 사례: Patagonia의 “Don’t Buy This Jacket” 캠페인
프롬프트 예시
“우리는 지속 가능한 의류 라인을 새롭게 출시합니다. 환경에 대한 책임을 강조하는 마케팅 캠페인을 기획해주세요. 목표는 브랜드 인지도와 매출 향상입니다. Patagonia의 ‘Don’t Buy This Jacket’ 캠페인처럼 강렬한 인상을 주는 예시를 참고해주세요.”
활용 팁
- CONTEXT를 생생하게 전달하면 AI가 더 창의적인 방향을 잡을 수 있습니다.
- EXAMPLE을 제시하면 원하는 결과물의 스타일을 명확히 보여줄 수 있어요.
5. 역할, 입력, 단계, 기대치를 포함한 R-I-S-E 프레임워크
ROLE → INPUT → STEPS → EXPECTATION
이 구조는 블로그 콘텐츠 기획이나 교육, 일정 수립에 유용합니다. 계획성 있는 결과를 받을 수 있습니다.
활용 예시
- 역할: 블로그 콘텐츠 전략가
- 입력: 트렌드 주제 데이터
- 단계: 월간 콘텐츠 캘린더 제작
- 기대치: Google Discover에 노출되도록 설계
프롬프트 예시
“당신은 블로그 콘텐츠 전략가입니다. 작문 관련 트렌드 주제 데이터를 수집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매월 콘텐츠 캘린더를 기획하고, 포스트 아이디어, 제목, 내부링크 전략까지 포함해주세요. 목표는 블로그의 검색 가시성을 높이고 Google Discover에 노출되는 것입니다.”
활용 팁
- 기대하는 결과를 수치나 플랫폼 기준으로 명확히 설정하세요.
- STEPS는 단계별 지시로 받아서 플랜으로 활용 가능합니다.
6. 방향, 기존 정보, 전문 지식, 문체를 반영하는 D.E.E.P 프레임워크
DIRECTION → EXISTING INFO → EXPERTISE → PREFERRED TONE
이 구조는 블로그나 에세이, 설명형 콘텐츠에서 큰 효과를 발휘합니다. 원하는 스타일로 글을 쉽게 생성할 수 있어요.
활용 예시
- 방향: 개인 브랜딩에 대한 블로그 글
- 기존 정보: 대략적인 아웃라인, 타깃 독자
- 전문 지식 요청: 전문가 팁과 사례
- 문체: 친근하고 약간 유머 섞인 스타일
프롬프트 예시
“개인 브랜딩에 대한 블로그 포스팅을 작성하려고 합니다. 대략적인 아웃라인과 타깃은 사회초년생입니다. 전문가 팁과 실전 사례를 포함해서 상세하게 작성해주세요. 문체는 친근하고 약간 유머가 섞인 스타일로 부탁드려요.”
활용 팁
- 문체(TONE)는 ‘따뜻한’, ‘전문적인’, ‘재치 있는’ 등으로 구체화하세요.
- EXISTING INFO가 많을수록 결과물 퀄리티가 올라갑니다.
7. 목표, 범위, 의도, 세부 정보를 포함하는 G.R.I.D 프레임워크
GOAL → RANGE → INTENTION → DETAILS
콘텐츠 플래닝에 탁월한 구조입니다. 특히 소셜미디어 콘텐츠 기획, 블로그 시리즈, 뉴스레터 전략 등에 좋습니다.
활용 예시
- 목표: 디지털 제품을 위한 인스타그램 콘텐츠 기획
- 범위: 4가지 유형의 30개 포스트 아이디어
- 의도: 각 콘텐츠의 목적 포함
- 세부 정보: 시각적 스타일, 캡션까지 포함
프롬프트 예시
“디지털 제품을 홍보하기 위한 인스타그램 콘텐츠를 계획 중입니다. 교육용, 공감형, 영감 제공형, 프로모션형 콘텐츠로 나눠 30개의 아이디어를 주세요. 각 콘텐츠의 의도와 통일된 비주얼 스타일, 캡션도 함께 제시해주세요.”
활용 팁
- RANGE는 숫자로 명확히, 예: 30개, 10개 등
- DETAIL에 ‘캡션’, ‘비주얼 스타일’, ‘해시태그’ 등을 포함하면 더 구체적인 결과 가능
마무리하며
지금까지 살펴본 ChatGPT 고수들이 사용하는 프롬프트 공식 7가지는 단순히 AI에게 말 거는 방식을 바꾸는 것만으로 결과의 퀄리티를 확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이제 더 이상 무작정 질문을 던지지 마세요.
프레임워크에 맞춰 질문을 구성하면, ChatGPT는 전문가 수준의 답변을 정확히 제공해줄 겁니다.
단순한 사용자가 아닌, 전략적 사용자로 거듭나고 싶다면, 이 7가지 프레임워크는 반드시 익혀두세요.
추가로 퍼플렉시티도 사용하고 계신다면 “Perplexity 마스터 되는 법: 전문가처럼 리서치하는 주제별 맞춤 프롬프트 10가지” 글도 도움이 되실 겁니다.
관련 질문 FAQ
Q1. 이 프롬프트 프레임워크들은 어떤 상황에서 제일 잘 작동하나요?
A. 마케팅, 블로그 작성, 전략 기획, 교육, 퍼스널 브랜딩 등 거의 모든 콘텐츠 생성 상황에서 효과적입니다.
Q2. 프레임워크를 하나만 써도 되나요?
A. 네, 상황에 맞게 하나만 써도 충분히 효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복합적으로 활용하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Q3.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나요?
A. 물론입니다! 구조만 기억해 두고 순서대로 작성하면 됩니다. 처음에는 템플릿처럼 따라 해 보세요.
Q4. ChatGPT 말고 다른 AI에도 적용 가능한가요?
A. 대부분의 생성형 AI에 적용 가능하지만, 특히 ChatGPT에 최적화된 구조입니다.
Q5. 어떤 프레임워크를 제일 먼저 연습하는 게 좋을까요?
A. 가장 단순한 R-T-F 프레임워크부터 시작해 보세요. 점점 다른 프레임워크로 확장하면 됩니다.
Q6. 프롬프트를 한국어로 입력해도 괜찮나요?
A. 전혀 문제 없습니다. 다만 영어로 더 정교한 결과가 나올 수도 있지만, 한국어도 충분히 훌륭한 응답을 받습니다.
Q7. 문체와 톤도 AI에게 요청할 수 있나요?
A. 네, 프레임워크 안에 Tone 요소를 포함시키면 AI가 원하는 스타일로 답변을 구성합니다.
Q8. 이 프레임워크들을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도구도 있나요?
A. 일부 프롬프트 생성기나 플러그인에서는 지원하지만, 직접 작성하는 게 퀄리티를 높이는 데 더 좋습니다.



















